최근 미국 뉴욕에서 불특정을 대상으로 벌어졌던 ‘지하철 밀치기(Subway Pushing)’ 사건으로 불안이 확산되면서 '06년 시작돼 현재 서울지하철 전 역에 설치돼 있는 ‘승강장안전문’의 우수성이 재조명된 가운데 하루 700만 승객을 지키는 ‘철벽 안심‧안전 시스템’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서울지하철은 ▲역사·열차 내 CCTV ▲비상통화·호출 장치 ▲세이프 존(Safe Zone) 등 시설이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270여 명의 지하철 보안관과 안전사고 등을 신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또타 지하철) 등 이중, 삼중 장치로 시민 안전을 촘촘하게 보호하고 있다.

먼저 서울지하철은 현재 189개 역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스테이션을 내년까지 1~8호선 전 역(276개)으로 확대한다. 스마트스테이션은 3D맵·IoT센서·지능형CCTV 등을 활용, 안전을 비롯해 분산된 시설물 관리와 서비스 등 역사 운영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스테이션 화면예시

무엇보다 스마트스테이션은 디지털트윈 기반의 3D맵을 통해 역사 내부를 3차원 지도로 한 눈에 볼 수 있어 환자·범죄 발생 등 실시간 위험 상황을 감지, 골든타임 확보와 사각지대 범죄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제로 스마트스테이션이 구축된 2·8호선 역사를 분석한 결과, 돌발 상황 대응 시간 72.7%(11분→ 3분), 역사 순찰·순회 시간이 64.3%(28분→ 10분) 단축되는 등 안전과 보안, 운영 효율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1~8호선 276개 전 역에서는 현재 총 20,584대의 CCTV도 운영되고 있다. 서울지하철은 사건·사고가 발생했을 때 당시 상황 확인을 위해 활용되기도 하지만 각종 범죄 등을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CCTV를 지속 확대 및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보다 안전한 지하철 이용을 돕기 위해 승하차 시에 곡선 역 승강장과 열차 사이 빈 공간에 발이 빠지지 않도록 ‘자동안전발판’ 설치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열차가 이동할 때에는 접혀 있다가 정차하면 자동으로 펼쳐져 승강장 사이 빈틈을 메워준다.

자동안전발판
승강장 연단 경고등

지난 '23년, 3호선 충무로역에서 하차하던 어린이가 열차와 승강장 사이 발이 빠졌던 사건 이후 서울시는 발 빠짐 우려가 있는 역사에 자동안전발판을 확대 설치해서 지난해부터 1~8호선 589개소에 발판을 설치 중이다.

‘자동안전발판’ 설치가 본격 시작된 뒤로 발 빠짐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서울지하철 1~8호선 발 빠짐은 70건으로 코로나로 승객이 감소한 시기('20~'21년)를 제외하고 '18년 대비 약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강장 구조적 이유로 자동안전발판을 설치하지 못하는 66개 역 413개소에는 바닥에서 빛을 표출해 발 빠짐 위험을 알리는 ‘승강장 연단 경고등’을 도입한다. 경고등은 오는 5월까지 42개 역 244개소에, 연말까지 24개 역 169개소에 설치할 예정이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최근 ‘승강장안전문’으로 서울지하철이 재조명되고 있지만 그동안 서울지하철은 안전과 서비스, 모든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임을 꾸준히 인정받아 왔다”며 “하루 700만 이용 시민의 일상을 지켜드리기 위해 ‘안전 분야’만큼은 어떤 양보나 타협 없이 집중 투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서울교통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