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시민과국정
한국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명사초청
세종로국정포럼
객원칼럼
박병환의 세계100대골프
사진영상뉴스
포럼행사
시민과국정
한국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명사초청
세종로국정포럼
객원칼럼
박병환의 세계100대골프
사진영상뉴스
포럼행사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시민과국정
한국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명사초청
세종로국정포럼
객원칼럼
사진영상뉴스
신문사 안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한국문화
한국문화
다음
이전
한국문화
[연재 칼럼]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 궁궐담장길을 걸으며
서울시는 2022년 7월에 창경궁과 종묘를 단절시켰던 율곡로를 지하화하고 그 위에 축구장보다 넓은 녹지(약 8,000㎡)를 만들어 끊어졌던 녹지축을 이었다. 참나무류와 소나무, 귀룽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등 760그루를 심어 자연스러운 다층구조의 숲을 완성하여, 일제가 없애버린 창경궁과 종묘 사이 궁궐담장(503m)과
최병석 발행인/칼럼니스트
2023.04.27 17:12
한국문화
[연재 칼럼] '한글'에 대하여 (3) - 언어의 능력
말은 능력이다!한국의 박상영 펜싱 선수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경기 결승전에서 패배 직전에 '할 수 있다!'라는 말을 반복하면서 급기야 금메달을 따낸 것을 기억할 것이다. 고대로부터 말의 능력에 대한 것은 무속에서 주문을 외운다던지, 불가의 염불을 한다던지, 각 종교에서 기도를 소리내서 하는 것 등에서 신비적인
최병석 발행인/칼럼니스트
2023.03.06 15:50
한국문화
[연재 칼럼] '한글'에 대하여 (2) - 훈민정음 창제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然四方風土區別聲氣亦隨而異焉盖外國之語천지자연의 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소리에 따라서 글자를 만들어서, 그리하여 온갖 사물의 실상(實相)과 통하게 하였고, 삼재의 도리를 책에 싣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3.03.05 13:46
한국문화
[연재 칼럼] '한글'에 대하여 (1) - ChatGPT에게 물었다
한글에 대한 정의와 우수성에 대해서 ChatGPT에게 물었더니 다음과 같은 답을 내기에 그대로 인용한다. "한글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공식 문자체계입니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음소를 만들어 표기하는 방식으로, 1443년에 세종대왕이 만들었습니다. 이전에는 중국의 한자를 사용했지만, 대중들이 쉽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3.03.05 11:51
한국문화
4차산업 혁명과 AI를 디자인하는 아티스트드림팀 전시회
4차산업 혁명과 AI를 디자인하는 아티스트드림팀이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World Art Expo in SEOUL (2023.02.09~02.12)에서 전시 참가를 하였다.참여 작가는 장혜자(아티스트드림팀 대표), 김소선, 김지수, 강지미, 서병관. 임혜영, 오영미, 전희원, 천현정, 허재희가 참여하였다. 특히 장혜자
데스크
2023.02.13 18:12
한국문화
(사)국제문화재전략센터, 문화재계 전문종합신문 “K-헤리티지뉴스” 창간
(사)국제문화재전략센터(이사장 박동석)는 2023년 1월 11일(수) 14시부터 17시까지 「사람 사는 노무현재단」‘다목적홀 가치하다’(서울 종로구 창덕궁길 73)에서 한민족의 혼과 삶이 스며든 문화유산으로 미래를 열어가고자 ‘K-헤리티지뉴스’ 창간식을 갖는다.창간식은 창간 선언, 외빈축사, 위촉장 및 기자증 수여, 헤리
데스크
2023.01.11 10:45
한국문화
"이건 운명"…'이순신 마지막' 찾아냈다, 日서 나고 자란 이 사람
지난 9일 오후 교토대(京都大)에서 만난 김문경 교토대 명예교수가 활짝 웃었다. “비과학적인 이야기 같지만 우연은 아닌 것 같다”며 2시간에 걸쳐 공을 들여 설명한 건 ‘대통력(大統曆)’. 대통력은 조선 시대 관에서 금속활자로 찍은 일종의 정부 달력(冊曆)인데, 임진왜란 당시 서애 류성룡(1542~1607)이 이 달력을
데스크
2023.01.03 13:59
한국문화
[연재 칼럼] 오징어 게임의 관찰자
그 시대의 기억과 추억을 예전에는 대중가요에서 담아 후대에 전해주었는데 요즘에는 드라마로 전해주는 시대가 된 것같다. 한 시대의 대중문화 드라마가 시대상을 찍어서 간직하고 보여주는 것이다. 2021년은 외국 OTT서비스 "오징어 게임"의 한 해가 되었다. 수많은 국내외 매체에서 칭송과 분석을 내놓는데, 거기에 일조를 하는
최병석
2021.10.19 12:55
한국문화
우리 교육에 대한 다른 시각에서의 생각
미국의 오바마 전 대통령이 한국의 교육이 미국의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했었다.우리는 우리끼리 안에서만 경쟁에 전념하면서 우리의 진정한 가치가 희석되지 않았는지 아래의 영상을 감상하면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었으면 한다.
데스크
2020.12.21 12:42
한국문화
[문화유산] 480년 전 조상의 애견 사랑
며칠 전에 동물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반려견의 학대 신고 기사가 났었다.1,000만에 이르는 반려동물 가족에게는 흘려 넘길 수 없는 내용이었다. 반려동물, 댕댕이나 야옹이에 대해 관심이 없는 대다수 사람들에게는 유별나게 생각될 수 있는 것도 이해한다. 그러나 반려동물이 이제는 어엿한 식구(食口)로서 받아 들여지는 시대인 것
최병석
2020.12.08 14:05
한국문화
공감과 소통을 끌어내는 퍼실리테이션 리더십
Facilitator는 대화와 집단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사람이다. 조직의 변화와 조직혁신을 도와주는 사람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승들인 예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공자, 맹자 이런 분들은 제자들이 깨달음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서 그 질문에 답을 하는 과정에서 제자들 스스로 깨달음을 얻도록
이호수
2020.11.11 13:51
한국문화
[Mr.Volunteer] 박승주 칼럼 자유와 평등, 보수와 진보, 우파와 좌파
자유와 평등은 국가라는 수레의 두 바퀴이다. 자유를 지향하면 보수(conservative)라 하고, 평등을 지향하면 진보라고 한다. 국가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세 가지 문제, 첫째, 나라가 떡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둘째, 키운 떡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셋째, 이 두 가지 문제를 누가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에 대해 보수와
이호수
2020.10.30 11:32
한국문화
"집단지성과 기술의 힘으로 위기 극복!"
일련의 기술 전문가 그룹이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단일 정보 저장소를 만들기 위한 크라우드 소싱 이니셔티브를 진행하고 있다. 창립자 에드워드 사페리아와 만나 이 과정에서 협업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제 많은 사람들이 팀즈, 슬랙, 트렐로 등의 협업 도구를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데스크
2020.03.27 09:45
한국문화
[한국일보] 이성철 칼럼 - 두 번째 기적을 기다리며
대구 자영업자들이 25일 대출을 받기 위해 대구 북구 소상공인진흥공단 앞에서 번호표를 받기 위해 줄얼 지어 기다리고 있다. 김민규 기자 전 세계가 한국을 바이러스 취급하던 게 불과 한 달 전이었다.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자 한국은 순식간에 가장 위험하고 혐오스러운 나라가 됐고 각국이 문을 닫
데스크
2020.03.27 09:39
한국문화
집중력 높이는 온라인 발표, 3가지를 기억하라
그동안 대부분 업무 발표에서 온라인 발표는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라 예외적인 형태였다. 그런데 지난주 부로 미국 내 거의 모든 업무 전문가가 이제 최소한 일부 시간에는 원격 근무 중이며 온라인 동영상 회의를 통해 자료를 만들어 발표하라는 요청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온라인 발표가 대세로 자리 잡을 수도 있다. 온라인 발
데스크
2020.03.26 09:23
한국문화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이유"
데스크
2020.03.23 09:34
한국문화
유발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인류는 지금 글로벌 위기를 맞고 있다. 어쩌면 우리세대가 겪고 있는 가장 큰 위기일지도 모른다. 지금부터 정부와 개인들의 내리는 선택에 따라 앞으로의 세계가 결정될 수 있다. 보건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이는 경제와 정치 그리고 문화를 바꿀 것이다. 우리는 신속하고 단호하게 행동해야 하지만 이러한 행동이 장기적인 결
데스크
2020.03.21 16:14
한국문화
천승일 서울동신중 교사 서울교총회장 출사표 던져
천승일 강동송파교총 회장(서울, 동신중 교사)이 마침내 차기 서울교총 회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천 회장은 “코로나를 종식시키는 최선의 방법이 바이러스에 맞서는 우리들의 단호함과 의연함, 신속함과 결연함에 있듯 저 천승일은 서울교육이 처해 있는 ‘심각한 교권붕괴’, ‘현장과 동떨어진 편향된 교육정책’ 그리고 이를 바로
데스크
2020.03.12 11:14
1
|
2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