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시민과국정
한국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명사초청
시민 미디어 뉴스
논설/칼럼
포럼뉴스
세종로국정포럼
- 조찬포럼강연
- 정회원 인터뷰
- 킹세종글로벌CEO아카데미
- CEO과정국정회
- 태백산합수고천제
사진뉴스
시민과국정
한국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명사초청
시민 미디어 뉴스
논설/칼럼
포럼뉴스
세종로국정포럼
- 조찬포럼강연
- 정회원 인터뷰
- 킹세종글로벌CEO아카데미
- CEO과정국정회
- 태백산합수고천제
사진뉴스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시민과국정
한국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명사초청
시민 미디어 뉴스
논설/칼럼
포럼뉴스
신문사 안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인문/진흥
인문/진흥
다음
이전
인문/진흥
[톨스토이] 삶이 고통에 처했을 때
삶이 고통에 처했을 때 아무리 어렵다고 해도 실망 하거나 좌절하지 말아야 한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사람이 적응하지 못할 상황이란 있을 수 없다. 특히 자기 주위의 사람들이 자신과 똑같이 고통스럽게 생활 하고 있는 것을 본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자기만이 불행한 사람에 속한다고 자학해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들도 똑같
데스크
2020.10.04 07:49
인문/진흥
[AI 인공지능] 싸우며 진화한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
과거에는 산업이나 군사용으로 쓰이던 기술이 오늘날 우리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흔해졌고, 이에 따라 우리가 접하는 기술의 종류도 상당히 많아졌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러한 새로운 기술에는 기술 자체의 이름이나 기술이 나타내는 현상을 표현하는 용어가 있다. 다양한 기술이 빠르게 등장하면서, 새로운 용어가 너무나도
데스크
2020.02.08 07:32
인문/진흥
[알쓸시론] 조직 멤브레인 효과
이번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환자의 진료를 보건서가 중국에 다녀온 환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검사 거절을 해서 결국은 확진을 받고 이미 전파가 이루어진 기사를 보고 문제를 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멤브레인(membrane)이란 전문용어가 있다. 특정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액체 혹은 고체의 막을
데스크
2020.02.06 10:23
인문/진흥
[중국시민] 경찰에게 마스크를 기부하고 사라진 시민
linkedin.com/in/jonsteinberg
데스크
2020.02.03 18:13
인문/진흥
[이부영] 동아-조선 거짓과 배신 100년 청산시민행동 1인시위 9일째
1월 29일 오전 11시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동아-조선 거짓과 배신 100년 청산시민행동 1인시위 9일째로 동아투위 양한수 위원이 허육, 이부영 동료 그리고 언론소비자주권연대 김병관 선생과 함께 나섰다.양한수 위원은 새로운 팻말 '시민응원 배신했던 동아일보 사죄하라'를 선보였다. 1975년 박정희 유신독재정권이 자
데스크
2020.01.30 13:36
인문/진흥
[시사이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바로알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란?코로나(corona)는 라틴말로 왕관을 뜻하며 통상 태양을 둘러싼 외곽의 빛(광환)을 지칭하는데,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전자현미경으로 이 바이러스를 관찰했을 때 마치 코로나와 유사한 모양을 띄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람에게서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를 human coronav
데스크
2020.01.28 11:07
인문/진흥
[알쓸시론] 국회 데자뷰 같은 사건에 대한 다른 감상
이 글은 10년 전에 작성된 것임을 고려하여 읽어 주시기 바란다. ( )안은 현재 시점에서 가필을 하였다"온 국민에게 너무도 강렬한 인상을 준 사건들 중에 단연코 국회의 전기 톱 사건을 뽑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어느덧 시간이 흘렀다고 생각했지만, 신문 지상에 간간이 빠지지 않고 거론 되는 것을 보면 역시 올 해의 이벤
데스크
2020.01.19 18:18
인문/진흥
신재생 에너지와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50년전에 덴마크의 에너지원 90%는 수입 원유에 의존했다. 그래서 석유 위기를 맞은 1970년대 원유 가격이 4대까지 치솟아 덴마크의 산업은 붕괴가 되고, 시민들의 집은 더 이상 난방을 할 수가 없었다.정부는 변화를 해야만 한다는 것을 깨닫고, 첫째로, 덴마크의 기후 자원인 바람을 활용하기로 결정을 했다. 그래서 197
데스크
2020.01.19 12:12
인문/진흥
[이부영] 조선. 동아 거짓과 배신의 100년 청산 시민행동
[기자회견전문] ‘조선-동아의 100년’은 부끄러운 100년이다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과거의 우리에게 무엇이었으며, 또한 오늘의 우리에게 무엇인가? 창간 100주년을 맞는 두 신문을 바라보면서 수많은 국민들이 다시 묻고 있다. 특히 100주년이라는 역사를 자랑스럽게 내세우는 행태를 보면서 다시 분노하고 있다. ‘지난날의 부
데스크
2020.01.17 14:53
1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