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 고구려정으로 올라가 아래로 보니, 한강이 흐르고 롯데월드타워가 눈에 들어온다. 한강은 왼쪽 상류인 두물머리에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해 한물인 한강이 되어 흘러내려온다. 이곳 잠실과 여의도를 거쳐 인천, 서해로 흐른다.

아차산1보루 암릉 전망대에서 멀리 검단산, 예봉산이 보이고, 왼쪽 발아래에 강동대교, 구리암사대교가 한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강동대교 건너편, 서울 동편 끝자락에 가래나무마을이 눈에 띈다. 가래나무가 많아 붙여진 마을이름이다.

이곳 강가에 가래마을 나루터가 있고 남한강 상류인 여주 나루터에서 실은 쌀과 북한강 상류에서 뗏목으로 싣고온 목재를 이곳과 뚝섬나루터를 거쳐 마포나루터에 다다른다. 이와 같이 한강은 조선시대 물류이동의 중추역할을 한 것이다.

아차산 능선따라 작은 봉우리마다 ‘보루’라고 불리는 성곽이 있었다.

고구려 장수왕 63년(475년)에 한강유역에 진출한 후 만들어져 양원왕 때 551년까지 신라와 백제 연합군에 의해 밀려 물러났다. 삼국시대 한강유역은 인구와 물자가 풍부하고 중국과 교류할 수 있는 요충지라 고구려, 신라, 백제가 서로 다투며 차지하려고 했었다.

부근 용마산, 망우산을 비롯한 아차산 일대엔 고구려가 만든 보루는 모두 20개인데 남진정책의 전초기지로 활용하였다. 아차산엔 능선따라 작은 봉우리마다 ‘보루’라는 성곽이 6개 있었다. 보루는 적의 침입이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쌓은 것이다. 4보루 유물에서 발굴된 토기형태와 목탄의 연대측정 결과, 5세기 말부터 6세기 중반 사이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4보루는 크게 성벽과 그리고 온돌, 배수로, 저수조를 갖춘 건물터로 구성되어 있었다.

보루에서 출토한 유물로는 대옹(큰 독),원통형사족기, 장동호, 양이부호, 철제찰갑 등이 나타났다.

2025.7.4. 박헌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