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시민국정
K-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인물소개
세종로국정포럼
기고칼럼
사진영상뉴스
시민국정
K-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인물소개
세종로국정포럼
기고칼럼
사진영상뉴스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시민국정
K-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인물소개
세종로국정포럼
기고칼럼
사진영상뉴스
한국시민프레스
성격자본신문
SECTION NEWS
제휴그룹신문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최병석 칼럼니스트'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기고칼럼
[최뱍사 칼럼] 영혼의 등불
육신에 영혼이 깃든 것이 아니다.영혼을 담은 그릇이 육신인 것이다. 영혼은 빛의 광원이고, 육신의 스크린에 비춰 현실을 투영하는 것이다. 빛은 정묘한 파동으로 우리가 이해하는 그 진동이다. 이 진동이 외부 세계의 현실과 동조하는 것이다. 마음 다잡고 헌신하기로 다짐하면서 간절히 기도를 드린 다음에 원하는 응답이 야니라 오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5.07.26 17:06
기고칼럼
[최박사 칼럼] 누구나 한 번쯤 한 생각
우리는 예측된 위기의 시간이 다가오면 그것에 의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통에 대해 초 재기로 스트레스를 쌓아 간다.그 시간이 비록 짧을 지라도 지극히 밀도있게 고통에 밀어 넣는다. 그런데 그 고통은 사실 발생할 것으로 예상될 허상이지 실제로 닥친 현상이 아니다. 체험되어진 느낌이 아니라, 그럴 것이라는 상상의 산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5.07.26 16:32
기고칼럼
[칼럼] 인공지능 시대 변화에 대하여(1)
오늘의 칼럼은 '변화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술,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변화는 필연적이며, 그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생존의 기본 법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화는 항상 쉽지만은 않습니다. 편안한 현재를 유지하고 싶은 우리의 본능과 상충하기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3.12.18 10:53
K-문화
[연재 칼럼] 훈민정음(訓民正音)의 '훈민(訓民)'에 대한 고찰
훈민정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훈민정음의 깊은 뜻을 고찰하거나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찾는 사람이나 학자가 의외로 드믄 것도 사실이다. 이제까지 가장 많이 설명되는 훈민정음의 뜻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로 많이 설명하는 것 같다. '가르치는', 가르칠 훈(訓)이
최병석 칼럼니스트/발행인
2023.06.30 11:00
K-문화
[연재 칼럼] '한글'에 대하여 (2) - 훈민정음 창제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然四方風土區別聲氣亦隨而異焉盖外國之語천지자연의 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소리에 따라서 글자를 만들어서, 그리하여 온갖 사물의 실상(實相)과 통하게 하였고, 삼재의 도리를 책에 싣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3.03.05 13:46
K-문화
[연재 칼럼] '한글'에 대하여 (1) - ChatGPT에게 물었다
한글에 대한 정의와 우수성에 대해서 ChatGPT에게 물었더니 다음과 같은 답을 내기에 그대로 인용한다. "한글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공식 문자체계입니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음소를 만들어 표기하는 방식으로, 1443년에 세종대왕이 만들었습니다. 이전에는 중국의 한자를 사용했지만, 대중들이 쉽
최병석 칼럼니스트
2023.03.05 11:51
1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