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시민국정
K-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인물소개
세종로국정포럼
기고칼럼
사진영상뉴스
시민국정
K-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인물소개
세종로국정포럼
기고칼럼
사진영상뉴스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시민국정
K-문화
공공정책
산업경제
인문진흥
인물소개
세종로국정포럼
기고칼럼
사진영상뉴스
한국시민프레스
성격자본신문
SECTION NEWS
제휴그룹신문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데스크'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기고칼럼
[기고칼럼] 경제성장을 위한 AI 디지털 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1퍼센트 아래로 떨어진 경제성장을 어떻게 해야 회복할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 가운데, AI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를 통해 경제전반의 생산성을 제고하여야 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강성주 세종대 교수(前우정본부장)는 지난 2000년 이후 아시아 10개국의 경제성장 요인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AI 디지털
데스크
2025.08.11 08:35
기고칼럼
[최박사 칼럼] 인생이 천국에서 내려 온 휴가라면?
인생은 고해(苦海)라고 불가에서는 말했다. 괴로움으로 가득 찬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그렇다면 과연 개고생 하는 것이 인생일까? 천국에서는 지상계의 인생이 봄날의 소풍처럼 영계에서 누릴 수 있길 바라는 휴가이며 설레는 체험 학습이라면? 인간계 체험 학습 에서 누구는 해병대 캠프의 빡쎈 훈련을 경험해 볼 수도 있고
데스크
2025.08.07 10:41
산업경제
[기고] AI시대에 과열되는 서버, 뜨거워지는 지구
지금 전 세계는 인공지능 열풍에 휩싸여 있다. 미국, 중국, 유럽은 말할 것도 없고, 대한민국 역시 AI에 대한 기대와 투자, 경쟁과 공포가 교차하는 초긴장 상태에 있다. 정부와 기업이 경쟁하듯 AI에 수십조 원을 쏟아붓고, 언론과 학계는 연일 AI의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조명한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마주한 가장 절실한
데스크
2025.07.28 13:37
인물소개
조강은양, 검정고시 출신으로 세계 명문 미대들 모두 합격…
세종로국정포럼 예술쇼파위원장으로 패션소파 브랜드 ㈜아츠아크의 디자이너겸 대표인 강일화 대표의 딸, 조강은 양(20)이 학부 과정을 제공하는 대학 중 세계 예술대학 순위 1위인 영국 런던예술대학교(UAL)에 합격했다는 기쁜 소식이 전해졌다.조강은 양은 검정고시를 통해 고등학교 과정을 마친 뒤, 혼자 힘으로 원서를 준비하고,
데스크
2025.07.21 10:44
세종로국정포럼
[제234회 조찬특강] 한정화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이사장(前 중소기업청장)
한정화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이사장 소개사안녕하십니까? 저는 KIVA 교육·청소년지회 스웨덴회장 및 미네르바스쿨링협회장을 맡고 있는 오우식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의 창업정신과 중소기업 정책의 산증인이자, 청년 세대에게 기업가정신의 불씨를 지피고 계신 분을 소개하게 되어 매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그분은 다름 아
데스크
2025.07.16 15:47
인물소개
[지자체 인사] 임종철 성남시 부시장 부임
임종철 성남시 부시장은 풍부한 행정 경험과 정책 기획 능력을 갖춘 '정책형 부시장'으로 정평이 난 인재입니다. * 오산고등학교 졸업 * 경희대학교 행정학 학사 *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행정학 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수료 * 행정고시 36회 합격 * 경기도 문화체육과장 * 혁신분권담당관 * 경제정책과장 *
데스크
2025.07.15 08:52
기고칼럼
[박헌렬의 힐빙낭만] 트럼프월드 빌딩과 앙카라 공원은 어디에 있나?
여의도에서 지인과 산책하다가 앙카라공원이 여기에 있는지 아세요?금시초문이라니까 그는 거기로 안내해 줬다. 여의도에 있는 앙카라공원은 1971년 서울시와 튀르키예 앙카라시가 자매결연을 맺은 기념으로 조성한 것이란다. 6.25전쟁 때는 미국, 영국, 캐나다에 이어서 네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견한 국가는 형제국인 튀르키예였다.
데스크
2025.07.11 18:09
K-문화
[최윤진 작가] 2025 뱅크아트페어(BANK ART FAIR)
2025 뱅크아트페어(BANK ART FAIR)가 2025년 8월 7일(목)부터 8월 10일(일)까지 강남 학여울역 앞에 있는 세텍 전시장에서 열린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하는 2025 뱅크아트페어(BANK ART FAIR)의 주제는 변함없이 "나는 이제 그림에 투자한다"이다. 이 전시주제로 4일간 열리는 2025 뱅
데스크
2025.07.10 15:48
기고칼럼
[박헌렬의 힐빙낭만] 고구려가 한강유역에 남진해 남긴 보루들
아차산 고구려정으로 올라가 아래로 보니, 한강이 흐르고 롯데월드타워가 눈에 들어온다. 한강은 왼쪽 상류인 두물머리에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해 한물인 한강이 되어 흘러내려온다. 이곳 잠실과 여의도를 거쳐 인천, 서해로 흐른다.아차산1보루 암릉 전망대에서 멀리 검단산, 예봉산이 보이고, 왼쪽 발아래에 강동대교, 구리암사대교
데스크
2025.07.04 18:42
기고칼럼
[박헌렬의 힐빙낭만] 의암호반 설경에서 만난 겨울연가
눈이 펑평 내렸던 날, 의암호 설경이 그리워 춘천으로 떠났다.전철 창밖으로 펼쳐지는 하얗게 덮힌 산과 강에 눈길이 머문다. 저게 바로 아름다운 동화세계이구나! 춘천역 위에서 호수쪽을 바라본다. 하얀 눈으로 덮힌 은빛 경치가 발걸음을 재촉한다. 호반을 따라 하얀 눈을 밟으니 ‘바스락~ 바스락’. 발아래 소리를 들으니 나 자
데스크
2025.06.27 16:27
기고칼럼
[박헌렬의 힐빙낭만] 백악산엔 옛 조상의 혼이 담겨있다!
우리말 '밝'은 한자로 환(桓) 또는 광명(光明)의 뜻을 담고 있다. 동방의 해 뜨는 땅을 터전으로 삶을 일궈온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태양을 숭배해 왔다. 우리민족을 밝달민족(白民), 우리민족의 지도자를 밝달임금(檀君), 우리민족의 도읍지를 밝달산(白岳山), 단군이 세운 나라 조선(朝鮮)은 우리말 밝달나라의 한자표기이
데스크
2025.06.21 07:30
기고칼럼
[박헌렬의 힐빙낭만] 인왕산 성곽에서 만난 외국관광객들
알록달록한 봄꽃으로 단장한 인왕산.창의문을 거쳐 시인의 언덕에서 윤동주 서시를 만났다. 멀리 남산타워가 시야에 들어오는 언덕에서 시를 읊으본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자락길따라 걷다가 숲속쉼터로 올랐다. 성곽길따라 계단을 오르며 오른쪽 성곽 위로 펼쳐진 북한산 봉우리들이 정겹게 다
데스크
2025.06.19 13:43
산업경제
K핸드메이드의 유령 상가 살리기 대축제 개막
K핸드메이드연합회(회장 장미정)는 6월 6일 순국선열 기념일인 현충일에 선열들의 뜻을 빛내기 위해 연합회 소속의 소상공 예술인들이 자원하여 자비를 들여 유령 상가와 상권 살리기 상생 브로젝트를 시작하였다.6월 6일부터 8일까지 시흥시 거북섬 아쿠아펫랜드에서 상가 수분양자대표회의와 협력하여 90%의 공실인 상가에서 소공인
데스크
2025.06.06 16:08
인물소개
박상희 상임고문, 건국대에서 인재육성 공로 감사패 받아
박상희 세종로국정포럼 상임고문(한국농어촌희망재단 이사장)이 농어촌 지역 인재 육성에 힘써온 공으로 감사패를 받았다.농어촌희망재단에 따르면 건국대는 지난 29일 박상희 이사장을 초청해 감사패 수여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재단 관계자들을 비롯해 건국대 원종필 총장을 비롯한 교내 인사들이 참석했다. 농어촌희망재단은 농림축산
데스크
2025.06.04 20:50
기고칼럼
2025년 제70회 현충일 추모사
오늘 2025년 6월6일은 제70회 현충일, Korean Memorial Day 입니다. 우리는 매년 현충일에 弔旗를 달아 순국선열과 호국영령과, 대한민국을 위해 산화하신 장병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 있습니다.우리는 오늘 이곳, 서울시 용산구에 소재한 전쟁기념관에,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헌화하고 추모하기 위하여 모였습니
데스크
2025.06.03 15:20
K-문화
컬처마스터즈–ICCN, 세계무형유산대회(WIN) 공동주관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컬처마스터즈와 무형문화도시간네트워크(ICCN)는 2025년 5월 31일 인천 송도에서 세계무형유산대회(WIN: World Intangible Heritage Network Festival & Contest, 2025–2028)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전 세계 무형유
데스크
2025.06.01 15:47
기고칼럼
[박헌렬의 힐빙낭만] 전통문화 사투리, 마음을 잇다-사투리는 못참지!
사투리, 마음을 잇다!2024년에 열린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10주년을 맞아 전시한 기획특별전의 주제인 ‘사투리는 못참지!’에서 영상 제목의 힌트를 얻었다. 사투리 즉 방언은 오방지언(五方之言)의 준말로, 동서남북과 중앙을 포괄하는 말이다. 언어는 시간이 흐르면서 여러 요인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게 되는데, 지역적 요인에
데스크
2025.05.30 07:57
K-문화
[박헌렬의 힐빙낭만] '몽촌토성 언덕길 따라 웃음핀 봄꽃'
꽃이 활짝 핀 4월 봄날, 올림픽 공원을 찾아 거닐었다.백목련과 눈인사를 하고, 토성 아래에 핀 노란 개나리꽃에 다가가 얘기를 나누니 개나리가 무척 기뻐한다. 줄지어 선 벚꽃 나무들에 둘러싸인 넓은 야생화 단지엔 인부들이, 여기저기서 갈퀴와 가래삽으로 밭구랑을 고르느라 여념이 없었다. 상춘객들은 봄 기운을 듬뿍 받기 위해
데스크
2025.05.23 14:02
1
|
2
|
3
|
4
|
5
내용
내용